컨퍼런스 & 체험

제1회 Techive(테키브) 기술 커뮤니티 후기 (with.Microsoft)

azureun 2025. 2. 19. 01:05

 

 

1. 참여 계기

평소 친하게 지내던 같은 학과 언니가 Techive 기술 강연을 발견하고 같이 가보자고 권유했다.

기술 강연, AI 박람회 등의 기회는 정보의 가치가 매우 크기 때문에 참여비 10,000원이 있었지만 바로 신청했다.

 

이번 Techive 강연을 참여한 후,

10,000원이 절대 아깝지 않았고, 그 이상의 가치가 있는 시간이었음을 느꼈다.🌟👍🏻

 

2. 행사 진행

더보기
  1. 행사 소개 안내 (10분)
  2. 키노트 - AI 시대와 에이전트 (30분)
  3. 발표
    1. 코파일럿 스튜디오와 에이전트 (30분) 이재석 Microsoft MVP
    2. Azure Virtual Network Gateway (40분) 박진규 Microsoft MLSA
    3. Power BI에서 Copilot 활용 (30분) 김은송 대학생
    4. AI 시대의 업무 혁신 - 사무자동화의 전망과 인재상 (30분) 허석 Microsoft MVP
    5. Power Apps -Smart Paste (30분) 김현혜 프리랜서 기획자
  4. 마무리 및 네트워킹

 

3. 발표 리뷰 (2가지)

1. 코파일럿 스튜디오와 에이전트 - 이제석 Microsoft MVP

Microsoft AI MVP라고 하시니까 포스부터 멋있었다. (✨👀입고 나오신 Microsoft 후드티가 탐났다.)

강연하실 때 사람들과 정보 공유를 하는 걸 즐거워하시는 모습이 느껴져서 더욱 집중해서 들었다.

청중들과 소통하며 이해하기 쉽게 Copilot Studio의 장점과 사용 방법을 알려주셨다.

 

Azure OpenAI Service는 Generative AI(생성형 AI)의 문제(데이터, 모델, 환각 등)로부터
안정성 및 보안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사진을 많이 찍진 못했지만 Azure AI Foundary 큰 기능으로는
나만의 챗봇을 만들어 빠르게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가 가능하다.

 

<프로세스>
1. Add triger & Add Knowlege

  • Agent(자율 목표 달성 시스템) 만들기 : 데이터 분석 챗봇 만들기
    • ex) 웹 사이트 주소 넣고 챗봇 생성, 회사 파일 넣고 챗봇 생성
      -> 챗봇이 데이터 분석해 주고 자료 질문에 대해 답변함. (질문 ex. 가장 판매율이 좋았던 년도가 언제야?)

2. Action

  • Agent 시스템에서 분석한 내용 정리해서 파일로 만들어 줌.

<Azure AI Foundry 설명서>

https://learn.microsoft.com/ko-kr/azure/ai-studio/

<Microsoft Copilot Studio 설명서>

https://learn.microsoft.com/ko-kr/microsoft-copilot-studio/

 

 

2. Azure Virtual Network Gateway - 박진규 Microsoft MLSA

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직접 접속해보는 Hands on(실습형 강의) 시간이 있었다.

평소 노트북 들고다니는 편인데 강연 전에 시험 보느라 못 가져갔다..ㅠ

그래도 전에 네트워크보안 과목 들었을 때 ping 테스트해봤던 기억도 떠오르고 좋았다.

 

일반 대학과 다르게 GIST나 KAIST는 국정원에서 컴퓨터 접속을 관리하기 때문에 외부망에 접속하기 어렵다고 한다.
그래서 VPN을 통해 다른 웹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원격 데스크톱 접속 방법으로는 2가지가 있다고 한다.

1. Port Forwording

2. VPN

 

VPN에서도 다양한 기술들이 있는데

  • PPTP : 속도가 빠르지만 인증 방식 취약해 보안성 낮음.
  • Open VPN : 느리지만 오픈소스라서 다양한 플랫폼과 보안성 높음.
  • SSTP : 네트워크 관리자가 패킷 감청하기 어려움. 방화벽/NAT 통과 수월함.
  • ...

Azure virtual network gateway를 이용해서 SSTP VPN 접속 실습하는 법을 배웠다.

<연결 과정>

1. Vnet 생성

2. Root 인증서 생성

3. Virtual Network Gateway 생성 후 root 인증서 key 등록

4. Root 인증서를 통해 Client 인증서 생성

5. VPN 구성 후 연결

https://techcommunity.microsoft.com/blog/educatordeveloperblog/building-a-basic-chatbot-with-azure-openai/4373018?wt.mc_id=studentamb_279723

 

Building a Basic Chatbot with Azure OpenAI

In this turorial, we'll build a simple chatbot that uses Azure OpenAI to generate responses to user queries. To create a basic chatbot, we need to set up a...

techcommunity.microsoft.com

https://www.youtube.com/watch?v=Uckas4SAmJQ

4. 마무리 및 네트워킹 시간

기억 남는 Q & A

자동화 도구를 사용할 때 예외가 있는 데이터 처리는 어떻게 하는가?
  • 중요도가 낮은 부분을 위해 많은 시간을 들여 시스템을 구축하진 않는다.
AI 시대를 유토피아적 or 디스토피아적으로 바라보는지?
  • 자신이 받아들이는 관점 차이이다.
  • AI도 결국 도구이고 자신의 도메인(영역)을 잘 이해하고 필요한 기술을 적용하면 된다.

네트워킹

마무리로 같이 화이팅하면서 사진도 찍고 링크드인도 공유하고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발표자 외에도 참석자 분들 중 C++ Korea에 소속되어 있는 교사분도 만나서 명함도 받고 광주 IT 종사업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오픈 채팅방도 참여할 수 있었다.

 

<Gwangju•Chonnam Power Platform Group>

https://www.linkedin.com/groups/14606388/

 

LinkedIn 로그인 또는 회원 가입

1B 회원들이 함께 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세상 비즈니스 인맥을 쌓고 넓히세요. 커리어 계발에 유용한 정보와 기회의 문으로 들어오세요.

www.linkedin.com

 

5. 느낀점

Microsoft의 좋은 AI 도구들과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도메인 지식을 계속 강조하셨다. 이 말을 들으면서 내가 하고 싶은 것, 만들고 싶은 것에 대해 충분히 고민하고 이해하는 시간이 필요함을 느꼈다. 그래야 그에 알맞은 기술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AI 시대라고 부정적으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배우려는 자세와 태도를 가지면 그 도구가 AI가 아니더라도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술의 간극을 좁히고 같이 성장하기 위해 Techive 커뮤니티 기회가 있어서 감사했다. 나도 성장해 나갈 때 내 지식으로만 품고 있지 않고 지식을 나누며 같이의 기쁨을 나눠야겠다.